Git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hub Organization에서 fork가 분리되었을때.. 문제 Organization이 기존 private에서 public으로 변경할 때 발생하였다. private에서 public으로 변경하면 fork상태가 자동으로 풀려버린다.. 해결 방법https://support.github.com/request 에 접속한다.아래 사진의 포크 연결, 분리 또는 바꾸기 에 들어간다. 아래 그림으로 포크 연결 부분으로 들어가준다.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, Write부분에 git organization 의 주소와 기존에 포크하였던 repository의 주소를 다시 연결해달라고 요청하면 된다.한국어와 영어로 번역해서 두가지로 보냈는데 , 영어로만 번역해서 보내면 될것같다. KeyPoint - 답변오는속도가 굉장히 빨라서 놀랐다. * fork 되었던 branch가 org.. github gitignore 적용 project 시작 path의 .git 폴더와 같은 위치에 .gitignore 작성 후에 해당 경로에서 git bash를 실행 gitignore 명령어 git rm -r --cached . git add. git commit -m "커밋메세지" git push origin {브랜치명} 원격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중 , gitignore에 명시된 파일들을 삭제 한 후, 파일들을 추가 하고 커밋, 푸쉬 이전 1 다음